안녕하세요, 정보 마을입니다. 오늘은 지하철을 처음 타시는 분들을 위해 카카오 지하철 사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이 어플을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도착역까지 가장 빠르게 갈 수 있는 경로를 안내를 해주기도 한답니다.
카카오 지하철 어플로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능들이 있는데요. 카카오톡으로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도착 정보를 공유할 수도 있답니다. 또한 분실한 물건을 찾을 수 있는 방법도 있으니 아래의 글을 읽어주세요.
카카오 지하철 사용법
- 지하철 출발 및 도착점 지정, 알림 설정
- 도착 장소와 시간 공유하는 방법
- 유실물센터에 연락하는 방법
1. 지하철 출발 및 도착점 지정, 알림 설정
1.1 카카오 지하철 어플 설치하기
카카오 지하철 어플을 설치 안 하신 분들을 위해 설치부터 시작해보겠습니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기준으로 플레이스토어를 들어가서 [카카오 지하철]을 검색하고 설치해 주세요.
1.2 카카오 아이디로 로그인하기
어플을 설치하셨다면 어느 지역에서 지하철을 이용할 것인지 지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좌측 상단에 표시된 줄 3개 모양의 더보기 아이콘을 눌러주세요.
1.3 지역 설정하기
로그인과 지역 설정할 수 있는 창이 열립니다. 카카오 아이디로 로그인을 한 후에 [지역 설정]을 눌러서 지역을 등록해주세요.
1.4 출발점과 도착점 지정하기
저는 부산에서 지하철을 이용해보겠습니다. 지하철을 타기 위해 출발점을 먼저 지정해야 하는데요. 저는 '사상'을 누르고 출발을 눌렀습니다.
출발점을 지정하였다면 도착점도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 도착점은 '수영'으로 정해보겠습니다.
1.5 지하철 알림 설정
도착점까지 지정을 하게 되면 소요시간, 지하철 이용 금액, 내리는 문 등 여러 정보를 볼 수 있답니다. 우선 [알람 설정] 눌러보시면 지하철이 출발점으로 오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표시됩니다. 또한 이용자에게 도착점보다 한 정거장 뒤에서 곧 도착한다는 알람을 보내준답니다.
2. 도착 장소와 시간 공유하는 방법
2.1 톡 공유하기
출발점과 도착점을 선택하였을 때 화면 중간에 [톡 공유]라는 문구가 보입니다. 이곳을 눌러줍니다.
2.2 도착 시간 공유하기
도착 시간 공유하기를 눌러준 후 카카오톡에서 자신의 도착 정보를 알리고 싶은 사람을 선택해줍니다.
3. 유실물센터에 연락하는 방법
가끔 지하철에 물건을 놓고 내리시는 분들이 있는데요. 유실물센터에 연락하게 되면 물건이 보관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곳의 번호를 보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3.1 유실물센터 찾기
어플 가장 첫 화면에서 좌측 상단에 표시해둔 부분을 눌러주세요.
3.2 유실물센터 누르기
[유실물센터]라고 적힌 부분을 눌러주세요.
맺음말
이상으로 카카오 지하철 어플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 어플은 지하철을 이용하는 것에 낯선 분들에게도 편리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사용하면서 모르시는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달아주시기 바랍니다.